맨위로가기

프레데리크 8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레데리크 8세는 1906년부터 1912년까지 덴마크 국왕이었다. 그는 크리스티안 9세의 장남으로 1843년 코펜하겐에서 태어났으며, 1863년 아버지의 즉위로 왕세자가 되었다. 1869년 스웨덴의 루이세와 결혼하여 크리스티안 10세, 호콘 7세 등 4남 4녀를 두었다. 1912년 독일 함부르크에서 산책 중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덴마크계 아이슬란드인 - 에밀리아나 토리니
    아이슬란드 출신 싱어송라이터이자 음악 프로듀서인 에밀리아나 토리니는 어린 시절부터 음악적 재능을 보였고, 런던으로 진출하여 다양한 아티스트와 협업하며 솔로 앨범 발매 및 영화 음악 참여 등 다방면으로 활동했다.
  • 덴마크계 아이슬란드인 - 스베이든 비외르든손
    스베이든 비외르든손은 아이슬란드의 법조인, 외교관, 정치인으로서 덴마크로부터 독립하는 과도기에 섭정을 지냈고, 1944년 아이슬란드 공화국 수립 후 초대 대통령을 역임했다.
  • 네덜란드계 덴마크인 - 요르요스 1세
    요르요스 1세는 1863년부터 1913년까지 그리스를 통치한 덴마크 왕자 출신의 국왕으로, 입헌군주제를 확립하고 영토 확장을 추진하다가 1913년 암살당했다.
  • 네덜란드계 덴마크인 - 덴마크 공주 엘리사베트
    덴마크 공주 엘리사베트는 크누드 왕자와 카롤린 마틸데 공주의 장녀로, 외무부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여러 대사관과 유엔 기구에서 근무했고, 덴마크-일본 협회 명예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그녀의 이름을 딴 지명도 존재한다.
  • 아일랜드계 덴마크인 - 요르요스 1세
    요르요스 1세는 1863년부터 1913년까지 그리스를 통치한 덴마크 왕자 출신의 국왕으로, 입헌군주제를 확립하고 영토 확장을 추진하다가 1913년 암살당했다.
  • 아일랜드계 덴마크인 - 올라프 5세
    올라프 5세는 1957년부터 1991년까지 노르웨이를 통치한 국왕으로, 호콘 7세의 아들이자 제2차 세계 대전 중 노르웨이 독립을 위해 헌신하고 스포츠에도 재능을 보였으며 국민들의 존경과 사랑을 받은 '국민의 국왕'이다.
프레데리크 8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프레데리크 8세
프레데리크 8세 (1909년)
칭호덴마크 국왕
추가 정보(더 보기...)
재위 기간1906년 1월 29일 – 1912년 5월 14일
이전 군주크리스티안 9세
다음 군주크리스티안 10세
출생명크리스티안 프레데리크 빌헬름 카를 아프 슐레스비히-홀스테인-존더부르-글뤽스부르
출생일1843년 6월 3일
출생 장소옐로우 궁전, 코펜하겐, 덴마크
사망일1912년 5월 14일
사망 장소함부르크, 독일 제국
매장 장소로스킬레 대성당
배우자루이세 (1869년 7월 28일 결혼)
자녀크리스티안, , 루이세, 하랄, 잉게보르, 튀라, 고스타우, 다우마
전체 이름크리스티안 프레데리크 빌헬름 카를
왕가글뤽스부르크
아버지크리스티안 9세
어머니루이세 아 헤센
종교덴마크 국교회
서명Signature of Frederick VIII of Denmark.svg

2. 생애

프레데리크 8세는 1843년 코펜하겐에서 크리스티안 9세와 헤센카셀의 루이제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당시 부모는 왕위 계승자가 아니었기 때문에, 프레데리크는 가정에서 부모에게 교육을 받았다. 1863년 프레데리크 7세가 사망하면서 부친이 크리스티안 9세로 즉위하였고, 프레데리크는 왕세자가 되었다.

왕세자 시절, 1864년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에 참전했고, 이후 부왕의 통치를 도왔다.[14] 1906년 부왕이 사망하면서 왕위를 계승했지만, 이미 64세의 고령이었고 건강도 좋지 않아 재위 기간은 짧았다. 1912년 독일 함부르크에서 산책 중 심장마비로 사망했으며, 로스킬레 대성당에 안장되었다.[14][15]

1869년 스웨덴 국왕 칼 15세의 딸 로비사와 결혼하여 4남 4녀를 두었다. 자녀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이름출생사망비고
크리스티안 10세1870년1947년덴마크 국왕
칼 왕자1872년1957년노르웨이 국왕
루이세 공주1875년1906년1896년, 샤움부르크-리페 공자 프리드리히와 결혼
하랄 왕자1876년1949년1909년, 글뤽스부르크 공녀 헬레네 아델하이트와 결혼
잉에보르 공주1878년1958년1897년, 스웨덴 왕자·베스테르예틀란드 공작 칼과 결혼
튀라 공주1880년1945년
구스타프 왕자1887년1944년
다우마르 공주1890년1961년1922년, 요안 카스테른스키올과 결혼


2. 1. 초기 생애

프레데리크의 출생지인 코펜하겐의 옐로 팰리스


프레데리크는 1843년 6월 3일 코펜하겐 중심부 프레데릭스타덴 지구에 있는 덴마크 왕가의 주요 거주지인 아말리엔보르 궁전 단지에 인접한 18세기 타운하우스인 옐로 팰리스에서 태어났다. 그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의 크리스티안 공자와 헤센-카셀의 루이세 공주의 장남이자 첫 자녀였다. 그의 부계는 크리스티안 3세의 후손으로 8대에 걸쳐 슐레스비히-홀슈타인에서 비주권 공작으로 통치했던 덴마크 왕실의 방계인 올덴부르크 왕가였다. 그는 6월 22일에 '크리스티안 프레데리크 빌헬름 카를'이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으며, 프레데리크 왕자로 알려졌다. 그는 평생 가족들에게 '프레디'로 불렸다.

크리스티안 9세와 그의 아내와 여섯 자녀, 1862년. 왼쪽부터: 다그마르, 프레데리크, 발데마르, 크리스티안 9세, 루이세 여왕, 티라, 게오르기오스 및 알렉산드라


그에게는 알렉산드라 (1844–1925), 윌리엄 (1845–1913), 다그마르 (1847–1928), 티라 (1853–1933) 및 발데마르 (1858–1939)의 다섯 명의 남동생이 있었다. 그들은 왕족이었지만, 가족은 비교적 평범한 삶을 살았다. 그들은 큰 재산을 가지고 있지 않았고, 아버지의 군대 위탁 수입은 연간 약 800파운드였으며, 그들의 집은 임대료가 없는 은전 재산이었다. 때때로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이 초대되어 아이들에게 잠자리에 들기 전에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1853년, 고령에 자녀가 없었던 프레데리크 7세로 인해 올덴부르크 왕조의 주계통이 단절될 것이 분명해졌다. 프레데리크의 어머니는 이전 올덴부르크 왕인 크리스티안 8세의 누이인 덴마크의 샬롯 공주를 통해 왕위 계승과 매우 가까웠다. 헤세 가문의 다른 상속인들이 루이세를 위해 덴마크 왕위에 대한 주장을 포기했고, 루이세 역시 자신의 주장을 포기함에 따라 그의 아버지가 결국 추정 상속인으로 선택되었다. 이에 따라 프레데리크는 덴마크의 왕자로 봉해졌다.

1863년 옥스퍼드에 머물면서 루이스 캐롤이 촬영한 프레데리크


1860년 10월 19일, 그는 누이인 알렉산드라 공주와 함께 크리스티안보르 궁전의 세례를 받았다. 세례를 받은 후 프레데리크 왕자는 광범위한 군사 교육을 받았으며, 형제인 발데마르와 함께 덴마크 왕립 해군에서 경력을 쌓았다. 1863년, 프레데리크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정치학을 공부하기 위해 파견되었지만, 그 해 11월 아버지가 왕이 되자 덴마크로 돌아왔다. 왕위 계승자로서 그는 국무원에 자리를 얻었으며, 이후 아버지의 정부 업무를 도왔다. 1864년, 그는 프로이센 왕국오스트리아 제국에 맞서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에 공식적으로 참전했다.

황태자는 덴마크 프리메이슨 기사단의 일원이었으며, 1871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그랜드 마스터로 재임했다.

2. 2. 결혼

프레데리크 왕세자와 루이즈 공주


루이즈 여왕은 맏아들 프레데리크가 자신의 두 딸 알렉산드라와 다그마처럼 결혼하기를 바랐다. 빅토리아 여왕에게는 아직 결혼하지 않은 두 딸, 헬레나 공주와 루이즈 공주가 있었고, 루이즈 여왕은 프레데리크를 그들 중 한 명과 결혼시키려 했다. 프레데리크 왕세자는 영국 체류 동안 헬레나 공주에게 관심을 보였고, 그의 마음이 받아들여졌지만 빅토리아 여왕의 반대로 그 관계는 성사되지 못했다.[9] 빅토리아 여왕은 딸들이 외국 왕위 계승자와 결혼하여 해외에서 살게 되는 것을 원치 않았고, 대신 영국에 정착할 수 있는 독일 왕자들을 선호했다. 게다가 빅토리아 여왕은 항상 친독일적이었으며, 덴마크와의 또 다른 동맹(프레데리크의 누이 알렉산드라는 빅토리아 여왕의 맏아들 웨일스 공 에드워드와 결혼했다)은 그녀의 독일적 이해관계와 일치하지 않았을 것이다.[10]

이 결혼 시도가 실패한 후, 관심은 스웨덴-노르웨이 공주 루이즈에게로 향했다. 루이즈 공주는 스웨덴-노르웨이 국왕 칼 15세의 외동딸이었다. 루이즈 공주는 베르나도트 왕조에 속했는데, 이 왕조는 1818년 창립자인 장 바티스트 베르나도트가 스웨덴의 왕세자로 선출된 후 왕위를 계승하면서 스웨덴을 통치해 왔다. 베르나도트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장군 중 한 명이었으며, 한때 프랑스 황제와 약혼했던 데지레 클라리와 결혼했다. 칼 14세의 아들 오스카르 1세는 나폴레옹의 첫 번째 부인인 황후 조세핀의 손녀 로이히텐베르크의 조세핀과 결혼했다. 오스카르 1세와 조세핀 여왕은 루이즈 공주의 아버지 쪽 조부모였다.[11]

이 결혼은 덴마크와 스웨덴 간의 우호 관계를 조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안되었다. 두 나라의 관계는 1864년 프로이센과의 전쟁에서 스웨덴이 덴마크를 지원하지 않으면서 긴장 상태였다. 프레데리크와 루이즈는 1862년에 처음 만났지만, 1868년 프레데리크는 루이즈를 알기 위해 스웨덴으로 초청되었고, 그들의 만남은 성공적이었다고 묘사되었다. 1868년 7월, 당시 25세였던 프레데리크 왕세자는 17세의 루이즈 공주와 약혼했다. 1년 후인 1869년 7월 28일 스톡홀름 왕궁의 예배당에서 두 사람은 결혼했다. 루이즈는 중세 이후 덴마크 왕가에 시집온 최초의 스웨덴 공주였으며, 이 결혼은 새로운 스칸디나비즘의 상징으로 세 개의 스칸디나비아 국가 모두에서 환영받았다.

프레데리크 왕세자와 루이즈 왕세자비


1869년 8월 10일, 신혼 부부는 따뜻한 환영을 받으며 코펜하겐에 입성했다. 부부는 거주지로 프레데리크 8세 궁전을 받았는데, 이 궁전은 18세기에 지어진 것으로 코펜하겐 중심부에 있는 아말리엔보르 궁전 단지의 일부를 형성한다. 그들은 시골 거주지로 샬로텐룬 궁전을 받았는데, 이 궁전은 코펜하겐에서 북쪽으로 10km 떨어진 외레순 해협 해안에 위치해 있었다. 이곳에서 그들은 아말리엔보르의 궁정 생활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했으며, 여러 자녀들이 이곳에서 태어났다. 프레데리크와 루이즈는 1870년부터 1890년 사이에 4명의 아들과 4명의 딸을 낳았다.[2] 많은 자녀들 때문에, 샬로텐룬 궁전은 대가족을 수용하기 위해 재건되었고, 1880-81년에 돔과 두 개의 측면 날개로 확장되었다.

스웨덴 국왕 칼 15세의 공주 로비사(1851년 10월 31일 - 1926년 3월 20일)와 1869년 7월 28일에 결혼하여 4남 4녀를 두었다.

이름출생사망비고
크리스티안 10세1870년1947년덴마크 국왕
칼 왕자1872년1957년노르웨이 국왕
루이세 공주1875년1906년1896년, 샤움부르크-리페 공자 프리드리히와 결혼
하랄 왕자1876년1949년1909년, 글뤽스부르크 공녀 헬레네 아델하이트와 결혼
잉에보르 공주1878년1958년1897년, 스웨덴 왕자·베스테르예틀란드 공작 칼과 결혼
튀라 공주1880년1945년
구스타프 왕자1887년1944년
다우마르 공주1890년1961년1922년, 요안 카스테른스키올과 결혼


2. 3. 즉위

1906년 1월 29일, 크리스티안 9세가 43년의 재위 기간을 마치고 87세의 나이로 평화롭게 서거하자, 프레데리크는 62세의 나이에 왕위를 계승했다. 그는 아말리엔보르 궁전의 크리스티안 7세 궁전 발코니에서 옌스 크리스티안 크리스텐센 총리에 의해 프레데리크 8세로 선포되었다.[1]

늦은 즉위로 인해 프레데리크 8세의 재위 기간은 6년에 불과했고, 그 기간 동안 건강 문제에 시달렸다.[1] 여러 면에서 프레데리크 8세는 아버지보다 새로운 의원 내각제에 훨씬 더 호의적인 자유주의 군주였으며, 개혁적이고 민주주의적인 성향을 보였다.[1]

2. 4. 사망

1906년, 부왕 크리스티안 9세의 사망으로 왕위를 계승했다. 즉위 당시 이미 64세의 고령이었고, 병으로 쇠약해져서 얼마 동안밖에 능력을 발휘할 수 없었다. 프랑스 여행에서 돌아오는 길에, 프레데리크 8세는 독일 함부르크에 들러 도착한 저녁에 몰래 융페른슈티크를 산책했다. 산책 도중에 정신을 잃고 공원 벤치에 쓰러져 있는 것을 경찰관이 발견하여 하펜 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사망이 선고되었다. 사인은 심장마비로 발표되었다.[14] 다른 왕족들과 마찬가지로 코펜하겐 근교의 로스킬레 대성당에 매장되었다.[15]

1912년 5월 14일, 프레데리크 8세는 부인과 네 자녀와 함께 니스 여행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함부르크에 잠시 들러 "크론베르크 백작"이라는 가명으로 호텔 함부르거 호프에 묵었다. 그날 저녁, 프레데리크는 신분을 숨기고 융페른슈티크를 산책하다가 괼세마르크트의 공원 벤치에서 기절했다. 그는 경찰관에게 발견되어 병원으로 옮겨졌고, 그 자리에서 사망했으며, 사인은 심장마비로 발표되었다. 프레데리크는 당시 신분을 숨기고 있었고 신분증도 소지하지 않아 시신은 지역 영안실로 옮겨졌고, 다음 날 아침 호텔 지배인에 의해 신원이 확인되었다.

그가 쓰러져 사망한 장소가 유명한 사창가 근처였기 때문에, 곧 국왕과 관련된 스캔들에 대한 소문이 돌기 시작했다. 현지 경찰은 왕실에 고통을 줄 것을 우려하여 수사 세부 사항을 공개하지 않았다.

프레데리크의 시신은 특별 열차로 트라베뮌데로 옮겨졌고, 이후 왕실 요트 ''단네브로''를 통해 덴마크로 돌아왔다. 코펜하겐의 크리스티안보르 궁전 예배당에서 국장을 치른 후, 15세기부터 덴마크 군주의 전통적인 매장지인 셸란 섬의 로스킬레 대성당에 있는 ''크리스티안 9세의 예배당''에 안장되었다.

3. 가족 관계

1869년 7월 28일 스웨덴 국왕 칼 15세의 딸 로비사 왕녀와 결혼해 4남 4녀를 두었다.

이름출생사망배우자자녀
크리스티안 10세1870년 9월 26일1947년 4월 20일메클렌부르크슈베린 공작부인 알렉산드린덴마크의 프레데리크 9세, 덴마크의 크누드 세습친왕
호콘 7세1872년 8월 3일1957년 9월 21일웨일스 공주 모드노르웨이의 올라프 5세
덴마크의 루이즈 공주1875년 2월 17일1906년 4월 4일샤움부르크-리페의 프리드리히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지기스문트 공주 마리 루이즈, 샤움부르크-리페의 크리스티안 공, 벤트하임 운트 슈타인푸르트의 스테파니 공주
덴마크의 하랄 공1876년 10월 8일1949년 3월 30일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의 헬레나 아델라이드 공주샤움부르크-리페의 크리스티안 공주 페오도라, 덴마크의 카롤린-마틸데 세습 공주, 알렉산드린-루이즈 백작부인 루이폴드 폰 카스텔-카스텔, 덴마크의 고름 공, 로젠보르크 백작 올루프
덴마크의 잉에보르 공주1878년 8월 2일1958년 3월 12일베스테르예틀란드 공작 칼덴마크의 액셀 공주 마르가레타, 노르웨이의 마르타 왕세자비, 벨기에의 아스트리드 여왕, 칼 베르나도트 공
덴마크의 티라 공주1880년 3월 14일1945년 11월 2일미혼없음
덴마크의 구스타프 공1887년 3월 4일1944년 10월 5일
덴마크의 다그마르 공주1890년 5월 23일1961년 10월 11일요르겐 카스텐스킬드칼 카스텐스킬드, 크리스티안 카스텐스킬드, 요르겐 카스텐스킬드, 다그마르 라르센, 크리스티안 프레데리크 카스텐스킬드



덴마크, 노르웨이, 벨기에 왕가 및 룩셈부르크 대공가는 프레데리크 8세의 혈통을 잇고 있다. 덴마크 왕가와의 연결은 당연하며, 노르웨이 왕가는 차남 칼을 거쳐 연결되었고, 벨기에 왕가 및 룩셈부르크 대공가와의 연결은 차녀 잉에보르의 딸 아스트리드를 통해 이루어졌다.

4. 현대 덴마크, 노르웨이, 벨기에, 룩셈부르크 왕가와의 관계

현대 덴마크, 노르웨이, 벨기에, 룩셈부르크의 군주 가문은 모두 덴마크의 프레데리크 8세 국왕의 후손이다.[16] 덴마크 왕가는 그의 장남인 크리스티안 10세를 통해, 노르웨이 왕가는 그의 차남인 호콘 7세와 딸인 잉에보르 공주를 통해 연결된다. 벨기에 왕가와 룩셈부르크 대공 가문 역시 잉에보르 공주의 후손으로, 구체적으로는 잉에보르의 딸 아스트리드를 통해 이어진다.[16]

참조

[1] 웹사이트 Frederik (Christian F. Vilhelm Carl) f. 1843, Kronprins https://runeberg.org[...] 2019-11-01
[2] 서적 Burke's Royal Families of the World Burke's Peerage
[3] 웹사이트 Louise Vilhelmine Frederikke Caroline Augusta Julie https://www.kvinfo.d[...] 2019-11-01
[4] 서적 Kongelig Dåb. Fjorten generationer ved Rosenborg-døbefonten Forlaget Hovedland
[5] 서적 Alexandra: Princess and Queen Collins
[6] 문서 Duff, p. 18.
[7] 웹사이트 Christian IX http://www.kongernes[...] 2019-11-01
[8] 서적 I Guld og Himmelblåt – Frimureriet i Danmark gennem 250 år, 1743–1993 Den Danske Frimurerorden / Nyt Nordisk Forlag 1993
[9] 웹사이트 Biography of Queen Alexandra https://www.thoughtc[...] 2019-12-01
[10] 웹사이트 Alexandra http://www.kongernes[...] 2019-11-01
[11] 웹사이트 Lovisa – Lovisa Josephina Eugenia https://runeberg.org[...] 2019-11-01
[12] 웹사이트 Christian 10 http://www.kongernes[...] 2019-11-01
[13] 웹사이트 Haakon 7 https://nbl.snl.no/H[...] 2019-11-01
[14] 논문 Der Tod kam mit dem Sex https://taz.de/!8034[...] 2003-03-10
[15] 웹사이트 Frederik VIII https://gravsted.dk/[...] 2022-10-11
[16] 웹사이트 Ingeborg C C F L https://sok.riksarki[...] 2019-11-01
[17] 웹사이트 Denmark http://eurulers.alte[...] 2023-07-23
[18] 서적 Statshaandbog for Kongeriget Danmark for Aaret 1906 https://dis-danmark.[...] J.H. Schultz A.-S. Universitetsbogtrykkeri 2020-04-30
[19] 서적 Statshaandbog for Kongeriget Danmark for Aaret 1912 https://dis-danmark.[...] J.H. Schultz A.-S. Universitetsbogtrykkeri 2020-04-30
[20] 문서 Herzoglicher Haus-orden Albrecht des Bären https://books.google[...] Hof- und Staats-Handbuch des Herzogtum Anhalt
[21] 웹사이트 A Szent István Rend tagjai http://tornai.com/re[...] 2010-12-22
[22] 문서 Großherzogliche Orden https://digital.blb-[...]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Baden
[23] 간행물 Hof- und –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s Bayern Druck and Verlag
[24] 서적 Almanach royal officiel: 1867 https://books.google[...]
[25] 문서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Hessen https://archive.org/[...]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Hessen
[26] 서적 Calendario generale del Regno d'Italia https://books.google[...] Unione tipografico-editrice
[27] 서적 明治時代の勲章外交儀礼 http://meijiseitoku.[...]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28]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s Mecklenburg-Strelitz: 1907 https://archive.org/[...] Druck und Debit der Buchdruckerei von G. F. Spalding und Sohn 1907
[29] 간행물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30] 문서 Staatshandbuch für das Großherzogtum Sachsen / Sachsen-Weimar-Eisenach https://zs.thulb.uni[...] Staatshandbuch für das Großherzogtum Sachsen / Sachsen-Weimar-Eisenach 2020-09-06
[31] 논문 พระราชทานเครื่องราชอิสริยาภรณ์ ที่ประเทศยุโรป http://www.ratchakit[...] 2019-05-08
[32] 서적 Guía Oficial de España http://hemerotecadig[...] 2019-03-21
[33] 간행물 Nor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2018-01-06
[34] 간행물 Sveri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2018-01-06
[35] 서적 Riddare af Konung Carl XIII:s orden: 1811–1900: biografiska anteckningar Eksjö, Eksjö tryckeri-aktiebolag
[36] 서적 The Knights of England https://archive.org/[...] London
[37] 문서 https://archive.org/[...]
[38] 문서 https://archive.org/[...]
[39] 문서 https://archive.org/[...]
[40] 웹사이트 The Buffs (East Kent Regiment) http://www.kentfalle[...] Kent Fallen 2015-12-30
[41] 간행물 Almanach de Gotha https://archive.org/[...] Justus Perthes
[42] citation Svensk rikskalender https://runeberg.org[...] 2018-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